
- 도면작도 실습도면 – 엘보우(ELBOW)
- 도면작도 실습도면 – 손목시계
- 국가기술자격 CAD 실기시험용 KS 기계제도 규격(2022년)
- 도면작도 실습도면 – HEXAGON 2507
- 도면작도 실습도면 – LIMITS PLATE
- 도면작도 실습도면 – FLANGE(플랜지)
- 도면작도 실습도면 – 새그리기
- 도면작도 실습도면 – 원그리기(Circle Drawing Exercise)
1. 투상법의 기본 개념
**투상법(projection)**은 물체에 가상의 광선(또는 시선)을 비춰 평면에 그 그림자처럼 나타내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한 물체의 정면, 평면(상단), 측면 등의 여러 뷰(view)를 도면에 표현할 수 있습니다. 투상법은 도면 해석과 제작의 기본 원리이며, 3차원 정보를 2차원 도면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1각법 (First-Angle Projection)
2.1 개념 및 투상 순서
1각법은 물체를 ‘제1각(1사분면)’에 위치시켜 투상하는 방식입니다.
투상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관찰자(눈) → 물체 → 투상면
즉, 관찰자의 눈이 물체와 투상면 사이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때 투상면(화면)은 물체의 반대쪽에 놓이게 되어, 실제 물체와는 반대의 위치에 도면상의 뷰가 나타납니다.
2.2 도면상의 배치
1각법에서는 각 뷰가 아래와 같이 배치됩니다:
- 정면도: 기준이 되는 뷰
- 측면도 (예: 우측면도): 정면도의 왼쪽에 배치됨
- 평면도 (상단도): 정면도의 아래쪽에 배치됨
간단한 도식 (1각법)
[정면도]
│
[평면도] [좌측면도]
(위 도식은 1각법의 일반적인 배치를 단순화한 것입니다.)
2.3 특징 및 사용
- 특징:
- 도면상의 뷰가 실제 물체의 위치와 반대로 배치됨
- 물체를 ‘눈-물체-투상면’ 순서로 투사하여 표현함
- 사용 국가 및 분야:
주로 유럽, 일본, 영국 등에서 선박 설계나 토목 도면 등에서 사용됩니다.
1각법은 투상 순서에 따른 반대 배치를 이해해야 하므로, 초보자에게는 다소 낯설 수 있으나 일정한 규칙에 따라 표기되므로 익숙해지면 일관성 있게 도면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3각법 (Third-Angle Projection)
3.1 개념 및 투상 순서
3각법은 물체를 ‘제3각(3사분면)’에 위치시켜 투상하는 방식입니다.
투상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관찰자(눈) → 투상면 → 물체
즉, 관찰자의 눈이 투상면과 물체 사이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 경우 도면상의 뷰는 실제 물체의 위치와 일치하게 배열됩니다.
3.2 도면상의 배치
3각법에서는 각 뷰가 아래와 같이 배치됩니다:
- 정면도: 중심이 되는 뷰
- 측면도 (예: 우측면도): 정면도의 오른쪽에 배치됨
- 평면도 (상단도): 정면도의 위쪽에 배치됨
간단한 도식 (3각법)
[평면도]
│
[정면도] [우측면도]
(위 도식은 3각법의 일반적인 배치를 단순화한 것입니다.)
3.3 특징 및 사용
- 특징:
- 도면상의 뷰가 실제 물체의 위치와 유사하게 배치됨
- 물체를 ‘눈-투상면-물체’ 순서로 투사하여 표현함
- 사용 국가 및 분야:
주로 한국, 미국, 캐나다 등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며, 도면 해석과 치수 기입이 직관적이어서 많은 기계 도면 및 건축 도면에서 채택되고 있습니다.
4. 1각법과 3각법의 주요 차이점
항목 | 1각법 | 3각법 |
---|---|---|
투상 순서 | 눈 → 물체 → 투상면 | 눈 → 투상면 → 물체 |
정면도 기준 | 측면도가 정면도의 왼쪽, 평면도가 아래쪽 | 측면도가 정면도의 오른쪽, 평면도가 위쪽 |
사용 예 | 주로 유럽, 일본, 영국 | 주로 한국, 미국, 캐나다 |
두 방법은 같은 정투상 원리를 사용하지만, 투상 순서와 도면상의 배치가 서로 반대이므로 도면을 작성하거나 해석할 때 반드시 사용된 투상법의 표기를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한 도면에서는 1각법과 3각법을 혼용하지 않고, 표제란 또는 도면의 한쪽 구석에 투상법 기호를 명시합니다.
5. 도면 제작 시 주의사항
- 투상법 기호 표기:
도면의 표제란이나 적절한 위치에 “1각법” 또는 “3각법”이라는 문구와 함께 기호를 명확히 표기하여, 도면을 해석하는 모든 사용자가 어떤 방식으로 그려졌는지 혼동 없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국제 협력 시:
각 국가나 산업별로 선호하는 투상법이 다르므로, 해외 협업 시에는 해당 국가의 표준에 맞춰 도면을 검토하거나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1각법과 3각법은 3차원 물체를 2차원 도면에 표현하는 대표적인 투상법입니다.
- 1각법: 관찰자의 눈이 물체와 투상면 사이에 위치하여 도면상의 뷰가 실제 물체와 반대로 배열됩니다.
- 3각법: 관찰자의 눈이 투상면과 물체 사이에 위치하여 도면상의 뷰가 실제 물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됩니다.
두 방법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면 도면 해석과 제작이 훨씬 수월해지며, 설계자와 제작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도면에 사용된 투상법을 명확히 표기하는 것이 혼동을 줄이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