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작도 실습도면 – 기초 도면 실습(BASIC-250804)

기초 실습 도면 – BASICE 250804**‘원(CIRCLE, 圓)’**이라는 주제를 고전적인 동양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관련 있는 고전 한시(漢詩) 3편을 선정하고 각각에 대해 작가 소개, 시 내용, 작품 해설, 감상평을 살펴보겠습니다. 🌕 1. 《月下獨酌》(월하독작) – 이백(李白) 👤 작가 소개 **이백(李白, 701~762)**은 당나라 최고의 낭만주의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불릴 정도로 초탈하고 자유로운 시 세계를 펼쳤습니다. 자연, 술, 달, 친구에 관한 […]

CAD 도면, CAD 실습도면, 캐드도면, 캐드실습도면, 기초실습, 원, CIRCLE

기초 실습 도면 – BASICE 250804
**‘원(CIRCLE, 圓)’**이라는 주제를 고전적인 동양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관련 있는 고전 한시(漢詩) 3편을 선정하고 각각에 대해 작가 소개, 시 내용, 작품 해설, 감상평을 살펴보겠습니다.


🌕 1. 《月下獨酌》(월하독작) – 이백(李白)

👤 작가 소개

**이백(李白, 701~762)**은 당나라 최고의 낭만주의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불릴 정도로 초탈하고 자유로운 시 세계를 펼쳤습니다. 자연, 술, 달, 친구에 관한 시를 많이 남겼으며, 그 중에서도 달을 소재로 한 시가 매우 유명합니다.

📜 시 내용 (전문 中 일부)

花間一壺酒(화간일호주)
獨酌無相親(독작무상친)
舉杯邀明月(거배요명월)
對影成三人(대영성삼인)

꽃 사이 항아리 술 한 병,
홀로 마시니 벗도 없네.
잔을 들어 밝은 달을 청하니
그림자까지 셋이 되었네.

📖 작품 해설

이 시는 고독한 상황 속에서도 **달(圓形의 상징)**과의 교감을 그린 작품입니다. 달은 시인에게 단순한 풍경이 아닌 동반자이자 우주의 이치를 상징하는 존재입니다. **‘원’**은 여기서 완전한 자연, 조화로운 우주의 상징으로 읽히며, 시인은 그것을 벗삼아 고독을 초월하려 합니다.

💭 감상평

이백은 단순히 달을 보는 것이 아니라, 달과 교류합니다. 달의 원형은 완전함, 끊임없는 윤회를 상징하고, 시인은 그런 존재와 마음을 나눔으로써 인간의 외로움을 넘어섭니다. 자연과 하나 되려는 동양적 정신이 잘 드러납니다.


🌕 2. 《靜夜思》(정야사) – 이백(李白)

👤 작가 소개

위에서 소개한 이백의 또 다른 대표작입니다. ‘정야사’는 간결하면서도 철학적인 깊이를 지닌 작품입니다.

📜 시 내용

床前明月光(상전명월광)
疑是地上霜(의시지상상)
擧頭望明月(거두망명월)
低頭思故鄕(저두사고향)

침상 앞 밝은 달빛
땅 위 서리인 듯 의심했네
머리 들어 밝은 달 바라보다
머리 숙여 고향을 생각하네

📖 작품 해설

달빛은 여전히 원형의 이미지완전함을 상징하지만, 여기서는 그것이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연결됩니다. 달의 **끊임없는 순환(음력의 원형)**은 변하지 않는 고향, 가족에 대한 기억을 자극합니다.

💭 감상평

짧은 시 안에 정적, 달, 고향이라는 정서적 삼각구조가 깔려 있습니다. ‘원’은 여기서도 정서의 연결 고리로, 시인의 내면과 멀리 떨어진 고향을 이어줍니다. 동양적 정서에서 달은 단지 밝은 천체가 아니라, 시간·공간·감정의 매개체로 기능합니다.


🔘 3. 《觀書有感》(관서유감) – 주희(朱熹)

👤 작가 소개

**주희(朱熹, 1130~1200)**는 송나라의 유학자이자 성리학의 집대성자입니다. 학문과 수양에 대한 깊은 통찰을 시로도 표현했습니다. 이 시는 그의 대표 철학시 중 하나입니다.

📜 시 내용 (2수 중 其一)

半畝方塘一鑑開(반무방당일감개)
天光雲影共徘徊(천광운영공배회)
問渠那得淸如許(문거나득청여허)
為有源頭活水來(위유원두활수래)

반 마지기 사각 못이 거울처럼 열리니
하늘 빛과 구름 그림자 함께 머무네
어찌 이리 맑을 수 있느냐 묻는다면
근원에서 살아있는 물이 흐르기 때문이네

📖 작품 해설

겉으로는 사각형의 연못을 말하고 있지만, 시의 구조와 상징성은 둥글게 순환하는 자연의 이치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구절은 생명력 있는 흐름이 본질을 맑게 한다는 철학으로, 이는 순환과 완성, 원의 의미와 일맥상통합니다.

💭 감상평

이 시에서 ‘원’은 보이지 않는 이치, 내면의 순환, 지속적 수양의 의미로 나타납니다. 겉모양은 사각일지라도, 안에서 이루어지는 흐름은 원처럼 순환하며, 정신과 지혜는 그로 인해 정화됩니다. 주희의 시는 철학과 시적 감성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 종합 감상

‘원(CIRCLE, 圓)’이라는 개념은 동양 고전 한시에서 우주의 질서, 자연의 순환, 인간 내면의 통일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모티프입니다.

  • 이백의 시에서는 원이 자연과의 교감,
  • 주희의 시에서는 지속적인 자아 수양의 이치,
  • 그리고 정야사에서는 감정의 회귀와 고향으로 표현됩니다.

이는 단순한 기하학적 개념을 넘어서, 삶과 죽음, 인간과 자연,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통합적 상징으로 기능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