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작도 실습도면 – 세척기 상판

세척기 상판 박판 상판 설계를 위한 재질 및 가공법 선택 가이드 1. 재질 선택 기준 2. 가공법 비교 및 선택 3. 설계 시 고려사항 4. 추천 조합 용도 재질 가공법 일반 실내용 SUS304 레이저 가공 + 엠보싱 고강도 요구 SUS301 프레스 가공 + 열처리 복잡한 디자인 SUS304/SUS316L 에칭 가공 대량 생산 SUS304 프레스 스탬핑 상판 설계 시 SUS304 또는 SUS301 재질을 선택하고, 제품의 목적(정밀도, 강도, […]

CAD실습도면, 세척기, 세척기 상판, 캐드실습도면, 도면실습, 캐드도면, CAD도면

박판 상판 설계를 위한 재질 및 가공법 선택 가이드

1. 재질 선택 기준
  • 스테인리스 스틸 (SUS304/SUS301)
    • SUS304: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하며, 일반적인 환경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열처리 없이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므로 복잡한 형상 가공에 적합합니다.
    • SUS301: 가공 경화성이 높아 고강도가 필요한 경우 적합합니다. 스프링성 부품이나 내구성이 요구되는 상판에 추천되며, 냉간압연을 통해 경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SUS316L: 해양 환경이나 화학 부식이 우려되는 경우 내식성을 강화한 재질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두께 선택
    • 박판은 일반적으로 0.1~1.0mm 두께 범위에서 정의되며13, 상판의 하중과 내구성을 고려해 0.5mm 이상을 권장합니다. 두께가 얇을수록 경량화는 가능하지만 변형 리스크가 증가합니다.
2. 가공법 비교 및 선택
  • 레이저 가공
    • 장점: 복잡한 형상의 정밀 절단이 가능하며, 두께 0.5mm 이상의 박판에서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초박판(0.1mm 미만)에서는 열에 의한 휨이나 탄 자국이 발생할 수 있어 전문 업체의 기술력이 필요합니다.
  • 에칭 가공
    • 장점: 미세 패턴이나 복잡한 디자인 구현에 적합하며, 비접촉식 공정으로 재료 손상을 최소화합니다. 특히 0.1mm 이하의 초박판 가공에서 효율적입니다.
    • 적용 분야: 산업 부품, 장식용 상판, 전자부품 트레이 등.
  • 프레스 가공
    • 장점: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스탬핑(엠보싱/코이닝)을 통해 표면에 장식적 요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금형의 정밀도 관리가 핵심입니다. 특히 박판의 경우 미세 클리어런스(0.005mm 수준) 와 초경합금 펀치/다이 사용이 필요합니다.
  • 하이드로폼 성형
    • 장점: 액체 압력을 이용해 복잡한 3D 형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재료의 균일한 변형을 유도합니다.
3. 설계 시 고려사항
  1. 재료의 균일성: 두께 편차와 잔류 응력이 가공 후 변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소재 품질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2. 열변형 방지: 레이저 가공 시 냉각 시스템을 활용하거나 에칭 공정을 선택하여 열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경량화 vs 내구성: SUS301은 고강도로 경량화와 강도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으나, 가공 난이도가 높습니다.
  4. 생산 규모: 소량 다품종은 에칭, 대량은 프레스 가공이 경제적입니다.
4. 추천 조합
용도재질가공법
일반 실내용SUS304레이저 가공 + 엠보싱
고강도 요구SUS301프레스 가공 + 열처리
복잡한 디자인SUS304/SUS316L에칭 가공
대량 생산SUS304프레스 스탬핑

상판 설계 시 SUS304 또는 SUS301 재질을 선택하고, 제품의 목적(정밀도, 강도, 디자인)에 따라 레이저에칭프레스 가공법을 조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특히 초박판의 경우 전문 업체와 협업하여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Views: 28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