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작도 실습도면 – 종이 상자 전개도(GIFT BOX)

뚝딱! 원하는 크기로 만드는 종이상자 전개도 완벽 가이드 (짜잔!) 신나는 만들기 시간으로 돌아 왔습니다! 🎉 뭔가 뚝딱뚝딱 만들어보고 싶은 날이지 않나요? 선물을 담을 상자가 필요할 때, 정리할 딱 맞는 크기의 상자가 없을 때! 이럴 때 직접 상자를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는 매력이 있답니다. 상자를 만들기 위해 가장 […]

CAD 도면, CAD 실습도면, 캐드도면, 캐드실습도면, GIFT BOX, 종이상자 전개도, 전개도

뚝딱! 원하는 크기로 만드는 종이상자 전개도 완벽 가이드 (짜잔!)

신나는 만들기 시간으로 돌아 왔습니다!
🎉 뭔가 뚝딱뚝딱 만들어보고 싶은 날이지 않나요?
선물을 담을 상자가 필요할 때, 정리할 딱 맞는 크기의 상자가 없을 때! 이럴 때 직접 상자를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는 매력이 있답니다.

상자를 만들기 위해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바로 ‘전개도’를 그리는 거예요.
전개도란 입체적인 상자를 평면에 펼쳐놓은 그림이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마치 옷을 만들기 위해 천을 펼쳐놓은 패턴처럼 말이죠!

가장 기본이 되는 직사각형 상자의 전개도를 어떻게 그리는지, 필요한 준비물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접고 붙여서 멋진 상자로 완성하는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자, 그럼 종이와 자를 들고 함께 시작해볼까요? 😊

종이상자 전개도,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것들!

자, 본격적으로 전개도를 그리기 전에 몇 가지 준비물이 필요해요. 거창한 도구는 아니니 집에 있는 것들을 잘 찾아보세요!

  1. 종이 또는 골판지: 상자를 만들 재료입니다. 간단한 연습용이라면 일반 도화지도 좋고, 좀 더 튼튼한 상자를 만들고 싶다면 두꺼운 마분지나 택배 상자 같은 골판지를 재활용해도 좋아요!
  2. 자: 정확한 치수를 재고 직선을 그리는 데 필수입니다. 30cm 이상의 긴 자가 있으면 편리해요.
  3. 연필과 지우개: 밑그림을 그리고 수정할 때 사용합니다.
    샤프보다는 일반 연필이 종이에 자국을 덜 남기고 부드럽게 그려져서 좋아요.
  4. 가위 또는 칼: 전개도를 오려낼 때 사용합니다. 깔끔하게 오리려면 칼을 쓰는 것이 좋지만, 안전을 위해 가위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칼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커팅 매트를 깔고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5. 풀 또는 양면테이프: 전개도를 접어서 상자 모양으로 붙일 때 사용합니다.
    강력한 종이용 풀이나 양면테이프가 좋아요.
  6. (선택) 송곳 또는 안 쓰는 볼펜: 접는 선을 미리 살짝 눌러 자국(스크래치)을 내주면 나중에 훨씬 깔끔하게 접을 수 있어요.
    송곳이나 컴퍼스 바늘, 혹은 심이 다 닳은 볼펜 등을 사용하면 됩니다. 칼등으로 살짝 그어주는 방법도 있어요.

준비물이 다 갖춰졌다면, 이제 상상력을 발휘할 시간입니다! 어떤 크기의 상자를 만들고 싶으신가요?

상자의 기본 구조 이해하기: 바닥, 옆면, 뚜껑!

전개도를 그리기 전에, 우리가 만들 상자가 어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머릿속으로 그려보는 것이 중요해요.
가장 기본적인 직사각형 상자는 보통 바닥, 네 개의 옆면, 그리고 뚜껑으로 구성됩니다.

그리고 상자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각 면들을 서로 붙여주는 ‘날개’ 또는 ‘접착면’이 필요하죠.
이 접착면까지 모두 펼쳐놓은 그림이 바로 전개도입니다.

우리는 이제 이 바닥, 옆면, 뚜껑, 그리고 접착면을 하나의 평면 위에 빈틈없이 그려 넣을 거예요.
마치 퍼즐 조각을 맞추듯이 말이죠!

Step by Step! 직사각형 상자 전개도 그리기

이제 실제로 전개도를 그려봅시다!
원하는 상자의 가로(L), 세로(W), 높이(H) 세 가지 치수를 정해주세요.
예를 들어, 가로 10cm, 세로 15cm, 높이 8cm인 상자를 만든다고 가정하고 진행해 볼게요.

  1. Step 1: 상자의 기본 치수 정하기
    • 가로 (Length, L): 10 cm
    • 세로 (Width, W): 15 cm
    • 높이 (Height, H): 8 cm
  2. Step 2: 상자의 ‘바닥’ 그리기
    • 준비한 종이 위에 상자의 바닥이 될 가로(L) x 세로(W) 크기의 직사각형을 그려주세요.
    • 예시에서는 10cm x 15cm 크기의 직사각형이 됩니다.
      자와 연필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그려주세요. 이것이 전개도의 중심이 됩니다.
  3. Step 3: ‘옆면’ 그리기
    • Step 2에서 그린 바닥 직사각형의 네 변 각각에 높이(H)만큼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을 그려 붙입니다.
    • 바닥의 긴 변(세로 W)에 붙는 옆면은 가로(W) x 높이(H) 크기의 직사각형이 되겠죠? (예시: 15cm x 8cm)
    • 바닥의 짧은 변(가로 L)에 붙는 옆면은 가로(L) x 높이(H) 크기의 직사각형이 됩니다. (예시: 10cm x 8cm)
    • 이렇게 바닥 직사각형의 네 변에 차례대로 (W x H) – (L x H) – (W x H) – (L x H) 또는 (L x H) – (W x H) – (L x H) – (W x H) 순서로 총 네 개의 옆면 직사각형을 붙여 그려줍니다.
      전개도를 펼쳤을 때 일렬로 늘어선 모양이 될 거예요. (보통 긴 옆면 두 개 사이에 짧은 옆면 두 개가 들어가는 형태로 그립니다.)
  4. Step 4: ‘뚜껑’ 그리기
    • 네 개의 옆면 중 **하나(보통 가장 긴 W x H 옆면)**에 상자의 뚜껑이 될 직사각형을 그려 붙입니다.
    • 뚜껑은 바닥과 크기가 같아야 하므로, 가로(W) x 세로(L) 크기의 직사각형이 됩니다. (예시: 15cm x 10cm)
    • 뚜껑이 붙는 옆면의 변과 뚜껑의 변이 맞닿도록 그려주세요.
  5. Step 5: ‘접착면(풀칠하는 날개)’ 그리기
    • 이제 상자를 조립할 때 풀이나 테이프를 붙일 날개 부분을 그릴 차례입니다.
      이 부분이 있어야 각 면들을 연결할 수 있어요.
    • 보통 네 개의 옆면 중 세 개의 세로 방향 가장자리에 접착면을 그립니다.
      나머지 한쪽 세로 가장자리는 다른 옆면과 붙는 부분이므로 날개가 필요 없어요.
    • 접착면의 너비는 1~2cm 정도가 적당합니다.
      너무 좁으면 접착력이 약해지고, 너무 넓으면 접었을 때 두꺼워져서 불편해요.
    • 접착면의 길이는 붙게 될 옆면의 높이(H)와 같습니다. (예시: 높이 8cm이므로 접착면 길이도 8cm)
    • 팁: 접착면의 끝부분을 사선(대각선)으로 살짝 잘라주면 나중에 상자를 접어서 붙일 때 걸리는 부분이 없어 훨씬 깔끔하고 쉽게 붙일 수 있습니다.
      약 45도 각도로 잘라주세요.
    • 뚜껑에도 접착면이 필요합니다. 뚜껑의 네 변 중 한 변 (상자를 닫았을 때 안쪽으로 들어가는 부분)에 접착면을 그립니다.
      이 접착면은 뚜껑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L 또는 W)에 맞춰 그립니다. (예시: 뚜껑의 짧은 변 10cm 쪽에 접착면을 붙인다면, 접착면은 10cm 길이에 너비 1~2cm로 그립니다.)
      이 뚜껑 접착면 역시 양쪽 끝을 사선으로 잘라주면 좋습니다.
  6. Step 6: ‘접는 선’ 표시하기 (점선으로!)
    • 각 면(바닥, 옆면, 뚜껑)과 접착면이 만나는 모든 경계선은 상자를 접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이 선들을 접는 선으로 표시합니다.
    • 연필로 점선으로 그리거나, 더 좋은 방법은 자를 대고 송곳이나 안 쓰는 볼펜 등으로 살짝 눌러 자국(스크래치)을 내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나중에 손으로 접을 때 선을 따라 정확하고 깔끔하게 접을 수 있어요.
      종이가 완전히 잘리지 않도록 힘 조절에 유의하세요!
  7. Step 7: ‘자르는 선’ 표시하기 (실선으로!)
    • 이제 우리가 그린 전개도의 가장 바깥쪽 테두리 선은 상자를 오려낼 자르는 선입니다.
    • 이 선은 연필로 진하게 실선으로 표시해 둡니다.
  8. Step 8: 전개도 오리기
    • Step 7에서 표시한 **자르는 선(실선)**을 따라 전개도를 조심스럽게 오려냅니다.
    • 가위를 사용해도 좋고, 좀 더 정교하게 오리고 싶다면 자를 대고 칼로 오려내는 것이 좋습니다.
      칼을 사용할 때는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집중하고, 안전에 최우선으로 신경 써주세요!
      접착면 끝의 사선 부분도 깔끔하게 잘라줍니다.
  9. Step 9: 접는 선 따라 접기
    • 오려낸 전개도를 이제 입체적인 상자로 만들기 위해 접어줍니다.
    • Step 6에서 표시하거나 스크래치를 낸 접는 선을 따라 모든 면들을 안쪽으로 접어 올립니다.
      스크래치를 냈다면 스크래치 자국이 상자의 안쪽 면으로 오게 접어야 잘 접힙니다.
  10. Step 10: 풀 또는 테이프로 붙이기
    • 모든 면을 접었다면, 이제 **접착면(날개)**에 풀이나 양면테이프를 꼼꼼하게 발라줍니다.
    • 접착면을 옆면에 맞춰 하나씩 붙여가며 상자의 옆면들을 완성합니다.
      이때 각 면이 직각이 되도록 잘 맞춰 붙이는 것이 중요해요.
    • 마지막으로 뚜껑의 접착면에도 풀칠하여 상자 본체의 안쪽 면에 붙여주면!
      짜잔! 나만의 종이상자가 완성됩니다!

성공적인 상자 만들기를 위한 추가 팁!

  • 정확도가 생명! 전개도를 그릴 때 자를 사용하여 각 선의 길이와 각도를 정확하게 재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1~2mm의 오차도 상자를 조립했을 때 틀어지거나 뜨는 원인이 될 수 있어요.
  • 스크래치는 필수! 특히 두꺼운 종이나 골판지로 만들 때는 접는 선에 스크래치를 내주는 것이 큰 차이를 만듭니다.
    훨씬 쉽고 깔끔하게 접을 수 있어요.
  • 작은 상자로 연습: 처음부터 큰 상자를 만들기보다, 작은 크기의 상자 전개도를 그려보고 만들어보면서 익숙해지는 것이 좋습니다.
  • 골판지 결 고려: 골판지를 사용할 때는 골의 방향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접는 선과 평행하게 골이 나 있으면 접기가 쉽지만, 수직이면 접히는 부분이 뻣뻣할 수 있어요.

응용해보기: 다양한 상자의 세계!

가장 기본이 되는 직사각형 상자의 전개도를 그려보았는데요,
이 기본 원리만 알면 다양한 형태의 상자에 응용할 수 있답니다!

  • 정육면체 상자: 가로, 세로, 높이 길이가 모두 같은 상자를 만들면 됩니다.
  • 뚜껑 분리형 상자: 본체와 뚜껑 전개도를 따로 그려서 만들 수 있습니다.
    뚜껑은 본체보다 가로, 세로 길이를 살짝 크게(약 0.5mm~1mm) 만들어야 잘 닫힙니다.
  • 서랍형 상자: 본체와 서랍이 따로 분리되는 형태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 육각 상자, 팔각 상자: 면의 개수만 달라질 뿐, 바닥 면을 그리고 각 변에 옆면을 붙인 후 접착면을 그리는 기본 원리는 동일합니다.

이렇게 전개도를 그리는 방법을 익히면, 세상에 있는 거의 모든 종이 상자를 직접 만들 수 있게 됩니다!
상자의 크기도, 모양도, 심지어 뚜껑의 디자인까지도 내 마음대로 정할 수 있다는 것이 정말 매력적이지 않나요?

종이상자 전개도를 그리는 기초부터 완성까지 함께 해보았어요.
처음에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바닥-옆면-뚜껑-접착면의 구조를 이해하고 차근차근 따라오면 누구나 멋진 상자를 만들 수 있답니다.

직접 만든 세상에 하나뿐인 상자에 소중한 선물을 담아 전달하거나, 자질구레한 물건들을 깔끔하게 정리해보세요!
상자에 예쁜 종이를 붙이거나 그림을 그려 넣어 개성을 더할 수도 있답니다.

이 튜토리얼이 여러분의 만들기 취미에 새로운 즐거움을 더해주기를 바랍니다! 😊

만들기의 즐거움에 대한 명언: “창의성은 전염된다. 전달해라.”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위로 스크롤